Representation
법과 문학의 관계는 문학을 통한 법의 모습을 비추는 것으로 설정됩니다. 형법 개혁은 재판 관행 및 행형 실태 등을 내용으로 갖습니다. 뉴게이트 소설의 열풍은 이러한 캠페인의 산물이며, 동시에 그러한 개혁의 원동력입니다. 논리적인 접근에서 한 발짝 떨어지고 순환적 관계를 표상했다면 이러한 개념 간 관계가 이해됩니다. 개혁의 목적은 당대의 범죄 담론이 지닌 야만성을 고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뉴게이트 소설은 범죄 담론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약화합니다.
영국 형법의 두 가지 야만성 중 하나가 ㉠입니다. ㉠은 범죄 담론을 구성하는 요소라 볼 수 있습니다. 클리퍼드는 감옥생활을 거듭합니다. 이는 재차 감옥에 다시 들어갔음을 함축합니다. 이로 인해 어느샌가 법을 깨뜨릴 준비가 된 남자로 설명됩니다. ㉠은 ㉡을 유발합니다. ㉡에 의거한다면 생존을 위해 범죄를 저지르는 선택이 강제됩니다. 이는 자신의 계급적 위치를 지키지 않는다는 것을 말합니다. 즉, 외부 상황이 개인을 불가피한 상황으로 강제하는 것에 해당합니다.
에인즈워스는 범죄자의 영웅적 면모를 강조하여 범죄자를 신비화합니다. 지배 계급은 이를 우려하는 한편, 캐서린은 문학적 공범자가 되어선 안된다고 주장합니다. 캐서린과 다른 작가 간 질적 차이는 O/X 퀴즈를 통해 표상화됩니다. 그녀는 형식 측면에서 일반적인 문법을 적용했지만 내용 측면에서 인물의 유년기 성향이 범죄의 원인임을 밝혔습니다. 이는 독자의 공감을 차단하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졌지만 작가의 의도와 달리 독자의 수용 측면에서 해석은 주관에 따라 달라지기에 뜻밖의 호소력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캐서린의 예측에서 벗어납니다. 작가의 의도를 중시하는 관점과 독자의 자유로운 해석을 중시하는 관점은 예술 분야에서 종종 등장합니다.
올리버 트위스트도 캐서린처럼 뉴게이트 소설의 작법을 따랐습니다. 다만 여기서 설정된 주인공은 범죄자가 아닌 예비 범죄자입니다. 결국에는 범죄의 유혹을 물리쳤다는 점이 이 소설의 고유한 특징입니다.
Filtering
- 1번 문항
- ②: 뉴게이트 소설은 범죄 담론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서, cause of 중 억제 관계를 갖는다.
- ①: 어떤 것이 다른 것의 원인이자 동시에 결과라는 점은 얼핏 보면 모순처럼 보인다. 그러나 인과적인 도식에서 어떤 것은 다른 것과 순환적 관계를 가질 수 있다.
- ⑤: 적극/소극 범주 각각에 트위스트의 주인공과 폴 클라퍼드가 매핑된다.
- 2번 문항
- ②: 영국 형법의 야만성 중 하나는 ㉠이다. ㉠은 ㉡을 이어진다. ㉡을 선택하면 교수형에 처해진다. ㉡의 내용은 자연의 제일법칙에 입각한 선택지인데 이는 생존의 막다른 골목에서 생존을 위해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은 생존을 위해 계급적 위치와 역할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거부하는 것을 함축한다.
- 3번 문항
- ⑤: 캐서린은 형식 측면에서 다른 작가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문법을 따랐지만 내용 측면에서 범죄의 원인을 주인공에 부여하여 독자의 공감을 차단하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