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esentation

이 지문은 당시 상당히 어려운 난이도로 평가되어 악명이 높았다. 14-⑤의 경우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개념에 대한 해상도가 낮았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한편으로 제시문이나 문제에 논리적 코드들이 많이 심어져 있어 그 자체로 학습할 가치가 있다.

출제자의 기술은 1문단부터 들어갔다. 이는 매우 교묘했기 때문에 범주에 대한 구별이 예리하기 이루어져야 했다. 통상 사건의 효과는 이전과 이후의 차이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사건을 경험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두 집단을 구성하고 집단 간 변화의 차이를 사건의 효과라 평가한다. 범주 측면에서 이러한 정보들은 각각 변화와 변화에 대한 변화에 매핑된다. 그렇기에 집단 내 변화와 집단 간 변화는 구별된다.

표본을 임의로 배정하는 실험적 방법은 이상적이다. 그런데 특정 사안에 대해서는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 진술의 개연성을 보자면 실험적 방법을 적용한 경우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다만 적용할 수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적을 것이다.

다음으로 비슷하지만 다른 것이 수험생들에게 어떻게 혼동을 일으키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음 두 문장을 보자.

💡
따라서 이 작업의 관건은 그 사건 외에는 결과에 차이가 날 이유가 없는 두 집단을 구성하는 일이다. - (1)
💡
이 가정이 충족되면 사건 전의 상태가 평균적으로 같도록 두 집단을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 (2)

(1)과 (2)는 비슷하지만 구별된다. 범주 측면에서 차이가 느껴지는가? (1)은 14번 문항의 ⑤로, (2)는 ④로 표현되었다. 사건은 원인(Cause)이고 결과는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1)은 결과에 대한 것이며 (2)는 원인(엄밀하게 말하면 초기상태)에 대한 것이다. 두 진술은 각각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갖는다.

  • (1): 사건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 사건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을 통제해야 한다. 그러므로 스노의 연구에서 런던의 두 집단은 공기의 차이가 없어야 한다. 공기의 차이가 존재한다면 4문단에서 볼 수 있듯이 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
  • (2): 이중차분법을 적용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와 달리 사건 전의 상태가 달라도 된다. 그러므로 스노의 연구에서 두 집단 간 콜레라 사망률은 달라도 된다. 왜냐하면 평행추세 가정에 따라 수원의 교체가 없더라도 변화의 크기가 두 집단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노의 연구에서 콜레라 사망률의 유일한 원인은 수원의 교체이며, 공기의 차이는 없어야 한다. 만일 존재한다면 ㉠과 같이 사건의 효과를 잘못 평가하게 된다. 또한 두 집단은 사건 전 콜레라 사망률이 같든 다르든 상관없다.

한편 ㉠에 대한 추론은 본질적으로 공통 결과 도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고용의 증가에는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산업의 종류(성장/사양산업) 또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러한 산업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건의 효과를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 내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출제자는 이러한 한계에 대해 여러 방법을 적용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이다고 언급한다. 양상 측면에서 서술은 모두 개연적으로 구성되었으므로 문제에서 단정을 통해 우리를 함정에 빠뜨릴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한다.

Filtering

  • 14번 문항
    • ①: 범주 측면에서 절대개념과 상대개념의 구분에 해당한다. 사건의 효과는 제시문에서 두 집단 간 결과의 차이이다. 이는 단일 집단(: 시행집단) 내 변화와는 범주를 달리한다.
  • 15번 문항: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은 추론을 거치게 된다.
  1.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드는 산업은 그렇지 않은 산업보다 고용률 증가 효과가 작다.
  2. 고용 프로그램은 고용률 증가 효과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3. 따라서 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되지 않는 ㉠은 그 가정이 충족되는 비교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의한 고용률 증가 효과가 과소평가된다.
  • 16번 문항: <보기>에 설정된 Cause of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임금 상승이 고용에 미친 효과' 즉, 연쇄 인과에 해당한다.
    • ④: 문제 구성은 복잡하지만 선지 필터링은 단정/개연 틀로 충분히 털린다. ②와 ⑤가 ④와 서술의 범주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자. 전자는 개연적이며, 후자는 단정적이다.

원인 속에 또 다른 cause of 관계가 중첩되어 있기에 다음과 같은 추론을 거치게 된다.

  1. 최저임금 인상을 하고 그에 따라 임금이 상승한 집단이 시행집단이다. 따라서 P주 저임금 식당이 이에 포함된다.
  2. 따라서 P주 고임금 식당과 Q주 식당은 사건을 경험하지 않은 비교집단이 된다.